기존 기술의 문제점
- VR/AR 기기의 가상 이미지에 대한 정량 평가 기술개발이 필요
- VR/AR 기기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와 달리 사람 눈과 매우 가까운 거리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먼 거리의 확대된 가상 이미지로 구현하는데 위도 및 색도 불균일, 해상력 저하, 영상 왜곡, 색수차 등 광특성과 영상품질을 떨어트리는 문제점 존재
- 기존 측정 기기로는 상기 광특성 및 영상품질을 올바르게 평가하기 어려움
- 광특성 및 영상품질의 동시 측정, 측정 영역 모니터링, 측정기 교정 용이성이 확보되어야 함
기존 기술과의 차별성
- 기존 측정장비보다 소형으로 제작 가능
- 사용자의 눈 위치에 따른 성능 측정으로 정면주시/비축주시 상황 맞춤 측정과 유효 시청 영역(eye box) 파악 및 측정값 변화 분석이 가능함
- 광특성 및 영상품질 동시 측정으로 이미지센서를 사용해 측정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시야각, 왜곡 등 영상 품질 및 휘도, 색도 등 광특성 측정이 가능함
- 교정 광원을 이용한 손쉬운 교정 가능
주요 기술 구성
- CTF, 왜곡, 색수차 등 영상품질 측정 알고리즘 및 불확도 분석 방법 가능
- 휘도, 색도 등 광특성 측정기술 및 불확도 분석 방법 가능
- 로봇암을 이용한 측정 자동화 기술
- 측정용 패턴 주사 프로그램
- IEC 국제표준 측정법에 부합
적용분야 및 적용제품
- VR/AR 개발사의 성능 평가 분야
- 헬스케어 관련 기기 개발 분야의 의료용 VR/AR 기기 적합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