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개요
- 본 기술은 약제학적으로 허용이 가능한 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담체를 포함하는 오토파지 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임
- mTOR/S6K 인산화 억제로 세포 내 오토파지 유도를 촉진하여 관 형성, 침습 및 이동을 억제하는 기전인 혈관신생 억제, 멜라닌 생성 억제 가능
대표도면

[오토파지 유도결과에 대한 LysoTracker 염색 비교]
기술의 필요성
- 오토파지는 신경퇴행성 질환, 암 및 멜라닌 생성과 같은 병리학적 과정과 관련이 있어 오토파지 유도체가 다양한 질환에 작용함
- 오토파지 손상 암 치료제 개발, 심혈관 질환 치료 및 암 전이 억제 의약품 개발, 미백 기능성 원료 개발 등으로 응용할 수 있음
기존기술대비 우수성
- 인다트랄린을 처리한 HeLa 세포에 오토파지 활성 증가하고, mTOR/S6K 인산화 억제
- HIF-1α 발현을 선택적 억제하여 혈관 신생을 억제하고,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 및 세포 성장 억제
기술 구현방법
본 오토파지 관련 질환, 혈관신생질환 또는 멜라닌 관련 질환 예방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구현됨
- 인다트랄린: X1 및 X2는 각각 염소원자(Cl)
- 염의 약제학적 활용을 위한 담체 생성
기술동향
- 오토파지 조절제로 항암제를 하는 의약품엔 chloroquine, sorafenib, temsirolimus 등이 있음
- 오토파지 억제와 코로나바이러스 증식 저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음
- Chloroquine이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물질로써 활용 가능성을 진단하여 주요 기업과 대학에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CAR-T 세포 치료제는 혈액암을 타겟으로 두고 임상 중이며, 이는 향후 다발성 골수종에 대한 BCMA 표적 CAR-T 세포치료제로서 연구 진행 중
시장동향
- 세계 항암제 시장 규모는 2018년 1238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11.4%의 성장률로 2021년 171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
- 2024년에는 2366억 달러로, 2018년 대비 두 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기존 세대 항암제의 부작용과 낮은 효능 등의 문제로 신규 항암제에 대한 수요 증가 전망

[세계 항암제 시장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