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개요
다수의 분사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증대된 일체형 배플 분사기 및 최적화된 유로 적용이 가능한 일체형 배플 분사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
기존기술 한계
기존 기술 : 종래에는 액체로켓 발사 시 발생되는 점화충격이 화염전파속도의 차이로 일부 분사기에 집중되어 해당 분사기를 휘어지게 하였고, 휘어진 분사기는 지속적으로 화염에 노출되어 구조적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음
종래 분사기의 외면에 구리층이 형성되어 이종재료의 사용에 따른 분사기의 불완전한 접합으로, 접합강도가 낮은 부분이 열을 받아 부풀어져, 추진재 공급유로가 넓어져 냉각속도 저감으로 분사기의 열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음
기술의 특성
(불량률 저하/내구성 향상) 하나의 바디에 다수의 추진 유입공간이 마련되어 구조적 내구성이 높으며, 단일소재로 이뤄져 접합불량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일체형 배플 분사기 제공
(최적 설계 가능) 일방으로 연장된 바디의 형상적 특징으로 3D 프린터기를 통한 일체형 배플 분사기의 제조가 가능하여 추진 유통로 형태의 최적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일체형 배플 분사기 제공
활용분야
[항공우주 분야] 로켓 분사기
- 로켓 분사기
[Spin Off 분야] 스마트 모빌리티
- 차량 연료 분사 시스템
기술구현
일체형 배플 분사기 제조 방법
1) 3D 프린터기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입력 받음
2) 바닥면부터 적층되며 z1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 원통형상 서포터가 다수 개 추가 형성됨
3) 각각의 레이어는 분할수를 높여 3D 프린트를 통해 높은 가공 정밀도로 일체형 배플 분사기를 제조함
시장동향
-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유 서비스 및 전기자동차의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인공지능,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통합이 확대되고 있어 스마트 모빌리티의 시장성과 잠재력은 크다고 볼 수 있음
- 세계 스마트 모빌리티 시장은 2022년 513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16.55%로 성장하여 2028년 1,35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