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개요
시험 대상 궤도상에서 시간(t)에 따른 거리의 전체 범위에 대해 트랜스폰더(transponder)를 이용하여 위치 추적 시스템을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
기존기술 한계
기존 기술 : 인공위성을 탑재한 로켓 또는 유도 무기와 같은 발사체는 발사 후 설정 비행 궤도로 비행하게 되며, 발사체에 설치된 트랜스폰더에 의해 발사체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위치 추적 시스템의 동작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트랜스폰더를 탑재한 경비행기를 활용하게 되는데, 경비행기는 실제 시험 대상 궤도를 비행할 수 없어 시간(t)에 따른 거리의 전체 범위에 대한 위치 추적 시스템을 시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경비행기가 실제 시험 대상 궤도 비행이 가능하더라도, 위치 추적 시스템 시험 시 소요되는 비용이 너무 많다는 문제점이 발생함
기술의 특성
(시험 가능성 확보) 시험 대상 궤도의 시간(t)에 따른 거리(d(t))에 대응하여 시간(t)에 따른 트랜스폰더의 응답-지연 시간(Td(t))가 설정되어 위치 추적 시스템의 거리 추적 동작 시험 방법 제공
(시험 가능성 확보) 시험 대상 궤도에 서 비행하지 않아도, 위치 추적 시스템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송수신 시간은 시험 대상 궤도 시간(t)에 따른 거리(d(t))에 비례하여 변하므로 위치 추적 시스템의 거리 추적 동작 시험 방법 제공
활용분야
[항공우주 분야] 발사체
- 로켓 발사체
[Spin Off 분야] 스마트 모빌리티
- 차량용 GPS 시스템, 자율주행
기술구현
트랜스폰더 활용 위치 추적 시스템 시험 방법
1) 시험 대상 궤도 정보를 수신함
2) 시험 대상 궤도의 시간(t)에 따른 거리(d(t)) 정보를 생성함
3) 시간(t)에 따른 거리에 대응하여 시간(t)에 따른 트랜스폰더의 응답-지연 시간(td(t)) 설정
4) 위치 추적 시스템에 의해 감지된 시간(t)에 따른 측정 거리 수신함
5) 생성된 거리 정보(d(t))와 측정 거리를 비교하며 위치 추적 시스템을 시험함
시장동향
-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유 서비스 및 전기자동차의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인공지능,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사물인터넷과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통합이 확대되고 있어 스마트 모빌리티의 시장성과 잠재력은 크다고 볼 수 있음
- 세계 스마트 모빌리티 시장은 2022년 513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16.55%로 성장하여 2028년 1,35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