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개요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기반의 지형 맵을 이용하여 등고선을 생성하고 등고선을 기초로 무인기의 안전 착륙 지점을 탐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
기존기술 한계
기존 기술 : 종래의 무인기 착륙 방법은 추가 인력 유지, 시설 확보, 장비 장착 등 많은 비용이 소모되며, 전파 방해에 의한 교란 문제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영상 기반의 자동 착륙 방법을 연구
착륙지점이 유동성을 가진 경우 착륙 지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비행체에 전달해야 하며, 착륙 지점의 착륙 표적을 추적하는 동안 모든 영상이 실시간으로 처리되어야 하고, 표적의 뒤틀림에 대한 인식 알고리즘 및 연산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므로 영상 처리 시간이 크게 소요되어 비행체의 반응을 지연시키고 각종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음
기술의 특성
(안전성 확보)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기반의 지형 맵(Terrain map)을 이용하여 등고선을 생성하고 생성된 등고선을 기초로 무인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는 안전 착륙 지점을 탐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
(안전성 확보) 등고선 지도에서 하한 반경 이상의 반경을 갖는 LEC 중 가장 큰 반경을 갖는 착륙 지점을 출력 후 무인 탐사 장치로 전송하여 무인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는 안전 착륙 지점을 탐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
활용분야
[항공우주 분야] 무인기 착륙 시스템
- 무인기 안전 착륙 지점 탐색 장치 및 탐색 방법
[Spin Off 분야] 무인기, 드론
- 드론, 무인기, 헬기 착륙 장치 시스템
기술구현
안전 착륙 지점 탐색 장치 및 안전 착륙 지점 탐색 방법
1) ‘안전 착륙 지점 탐색 장치’가 지형 맵을 획득하여 최저 높이값 및 높이 간격값을 기준으로 등고선 생성
2) 등고선 지도에서 하한 반경 이상의 반경을 갖는 LEC 검색
3) 검색한 LEC 중 가장 큰 반경을 갖는 안전 착륙 지점을 출력하여 무인 탐사 장치로 전송함
시장동향
- 현재 드론 기술의 상당한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드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물류 및 운송 분야에서의 무인항공기의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어 무인 항공기의 시장성과 잠재력은 크다고 볼 수 있음
- 세계 무인항공기 시장은 2022년 249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11.2%로 성장하여 2027년 423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