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개요
회전가능한 레버부가 제1 커넥터부와 제2커넥터부를 연결시켜 위치 고정 및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사체용 커넥팅 장치
기존기술 한계
기존 기술 : 벌크헤드 유니온과 배관 간 결합이 발사체가 이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압, 진동 상황에 의하여 체결력이 약해지는 문제점 보유
벌크헤드 유니온은 발사체의 내부로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에도 지속적으로 캡이 벌크헤드 유니온의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 즉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유로가 대기 중에 노출 되는 문제점 보유
기술의 특성
(체결력 향상) 제1커넥터부와 제2커넥터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안전성 확보) 레버부의 일면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효과 보유
(안전성 확보) 발사체가 이륙되면 가스공급 유로를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함과 아울러,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도 차단할 수 있는 장점 보유
특징
[항공우주 분야] 우주 비행체, 발사체
- 우주 비행체 및 발사체 커넥팅 장치
[Spin Off 분야] 엔지니어링 및 제조
- 조립 공정 및 로봇 정밀화 가공 분야
기술구현
발사체용 커넥팅 장치
1) 피 설치물의 스킨에 형성된 설치공에 삽입되며, 내부에 가스가 도입되는 가스 도입구가 형성된 삽입링부
2) 삽입링부의 일단 외주면에 마련되어, 피 설치물의 스킨 내면에 결착되는 결착 플랜지부
3) 삽입링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채, 가스 도입구를 개폐하며, 가스 도입구가 개구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 회전하여 가스 도입구를 폐쇄하는 개폐뚜껑
시장동향
- 세계 항공 부품 시장의 경우 2021년 206억 5,900만 달러에서 연평균 6.8% 성장률로 인하여 2026년 287억 600만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국내 항공 부품 시장의 경우 2021년 6조 5,455억 원에서 연평균 6.1% 성장률로 인하여 2026년 9조 949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