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화 유망기술

[발표기술] (첨단 모빌리티) 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 발사체용 커넥팅 장치

(첨단 모빌리티) 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 발사체용 커넥팅 장치

발사체용 커넥팅 장치

보유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거래조건 : 협의 후 결정

기술완성도

TRL01

기초 이론/
실험

  • 연구과제 탐색 및 기회 발굴 단계
TRL02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
특허 등 개념 정립

  •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 특허 등 개념 정립
TRL03

연구실 규모의
성능 검증

  • 연구실/실험실 규모의 환경에서 기본 성능이 검증될 수 있는 단계
  • 개발하려는 시스템/부품의 기본 설계도면을 확보하는 단계
  • 모델링/설계기술 확보
TRL04

연구실 규모의
부품/시스템 성능평가

  • 연구실 규모의 부품/시스템 성능 평가가 완료된 단계
  • 실용화를 위한 핵심요소기술 확보
TRL05

시제품 제작/
성능평가

  • 개발한 부품/시스템의 시작품(Prototype) 제작 및 성능 평가
  • 경제성(생산성)을 고려하지 않고, 우수한 시작품을 1개~수개 미만으로 개발
TRL06

Pilot 단계 시작품
성능 평가

  • 경제성(생산성)을 고려한, 파일로트 규모의 시작품 제작 및 평가
  • 시작품 성능평가
TRL07

Pilot 단계 시작품
신뢰성 평가

  • 시작품의 신뢰성 평가
  • 실제 환경(수요기업)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
TRL08

시작품 인증/
표준화

  • 일부 시제품의 인증 및 인허가 취득 단계
    - 조선 기자재의 경우 선급기관 인증, 의약품의 경우 식약청의 품목 허가 등
TRL09

사업화

  • 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 단계

기술개요

회전가능한 레버부가 제1 커넥터부와 제2커넥터부를 연결시켜 위치 고정 및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사체용 커넥팅 장치

기존기술 한계

기존 기술 : 벌크헤드 유니온과 배관 간 결합이 발사체가 이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압, 진동 상황에 의하여 체결력이 약해지는 문제점 보유

벌크헤드 유니온은 발사체의 내부로 유체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에도 지속적으로 캡이 벌크헤드 유니온의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 즉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유로가 대기 중에 노출 되는 문제점 보유

기술의 특성

(체결력 향상) 제1커넥터부와 제2커넥터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안전성 확보) 레버부의 일면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효과 보유

(안전성 확보) 발사체가 이륙되면 가스공급 유로를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함과 아울러,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는 것도 차단할 수 있는 장점 보유

특징

[항공우주 분야] 우주 비행체, 발사체
- 우주 비행체 및 발사체 커넥팅 장치

[Spin Off 분야] 엔지니어링 및 제조
- 조립 공정 및 로봇 정밀화 가공 분야

기술구현

발사체용 커넥팅 장치

1) 피 설치물의 스킨에 형성된 설치공에 삽입되며, 내부에 가스가 도입되는 가스 도입구가 형성된 삽입링부

2) 삽입링부의 일단 외주면에 마련되어, 피 설치물의 스킨 내면에 결착되는 결착 플랜지부

3) 삽입링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채, 가스 도입구를 개폐하며, 가스 도입구가 개구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 회전하여 가스 도입구를 폐쇄하는 개폐뚜껑

시장동향

- 세계 항공 부품 시장의 경우 2021년 206억 5,900만 달러에서 연평균 6.8% 성장률로 인하여 2026년 287억 600만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국내 항공 부품 시장의 경우 2021년 6조 5,455억 원에서 연평균 6.1% 성장률로 인하여 2026년 9조 949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1. 로그인
  2. 회원가입

Biz행사

Biz웹사이트

문의전화
02)3390-8221